1. 리스트 내 원소값 바꾸고 합구하기

 

input_list = input().split()
위와 같이 소스코드를 작성하면 공백 기준으로 분리되었을때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예를들어 입력이 1 3 2 5 6 2 7 3 이렇게 된다면, inpur_list는 ['1','3','2','5','6','2','7','3'] 과 같습니다.

내부 각각 원소를 보면 str type 입니다. 이들이 int 값일때의 합을 구하기 위해 for문을 돌려서 합을 구해주세요.
단, for 반복중 '7' 이 있다면 'lucky'를 출력하고 합에서는 7을 제외해주세요.

따라서 다음과 같은 출력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.

입력값이 1 2 3 4 5 6 7 8 9 10 이라면 7이 있기 때문에 
 lucky 48

입력값이 1 2 3 4 5 6 8 9 10 이라면 7이 없기 때문에

48

1
2
3
4
5
6
7
8
arr=input().split()
sum=0
for i in range(len(arr)):
    sum=sum+int(arr[i])
    if int(arr[i]) == 7:
        print("lucky")
        sum=sum-int(arr[i])
print(sum)
cs

2. 3,6,9 게임

 

숫자 하나를 n에 입력 받습니다. 
1 ~ n까지 숫자를 출력하면서,
만약 숫자에 3, 6, 9가 들어가 있다면 '짝'을 출력하면 됩니다.
만약 한 숫자에 3, 6, 9가 2개 들어가 있다면 짝을 두번 출력해야 합니다.
예를 들어 33은 '짝짝'이 될 것이고, 94는 '짝'이 될것입니다.

<예시>
입력 :
16
 
출력 :
1 2 짝 4 5 짝 7 8 짝 10 11 12 짝 14 15 짝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N=int(input())
 
def count(n): #n=몫
    cnt = 0
    na = 0 #na=나머지
    while n:
        na=n%10 #1자리수 3 6 9 확인
        n=n//10 #10자리수 3 6 9 확인차 n재설정
        if na==3 or na==6 or na==9:
            cnt = cnt + 1
 
    return cnt #3 6 9 갯수
 
for i in range(1, N+1):
    check=count(i) #cnt가 0이 아닐때 박수
    if check:
        for i in range(check):
            print("짝", end="")
        print(" ", end="")
    else:
        print(i, end=" ")
cs
 

3. 3의 배수 리스트

 

변수 n에 숫자 하나를 입력을 하나 받습니다.
list에 3부터 3의 배수를 n개 채웁니다. 

이렇게 채워진 list를 맨 뒤부터 거꾸로 출력합니다. 

 

<예시>

입력 : 5

 

출력 : 15 12 9 6 3

1
2
3
4
5
6
7
a=int(input())
b=[]
for i in range(a):
    b.append(3*(i+1))
 
for i in range(a-1,-1,-1):
    print(b[i], end=" ")

4. 세 개의 입력 값, 같은지 출력하기

 

세 개의 입력 값이 같은지 출력합니다.

세개 모두 같으면
"모두 같다"

모두 다르면 
"모두 다르다"

일부만 같으면
"일부 같다"

라고 출력합니다.


<입력 예시>
3 1 3

<출력 예시>
일부 같다

<입력 예시>
7 7 7

<출력 예시>
모두 같다

1
2
3
4
5
6
7
8
9
10
11
12
a, b, c= input().split()
if a==b:
    if b==c:
        print("모두 같다")
    else:
        print("일부 같다")
elif a==c:
    print("일부 같다")
elif b==c:
    print("일부 같다")
else:
    print("모두 다르다")

5. 리스트값 바꾸기

 

첫 번째 줄에는 정수 하나가 입력됩니다.
그 다음 줄에는 여러 정수들을 한 줄로 입력 받습니다.

첫 번째 입력된 정수는 변수 하나에 저장하고 
그 다음 줄에 입력된 정수들은 리스트에 저장합니다. 

인덱스란 리스트의 특정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. 
리스트의 첫 번째 원소는 인덱스가 0
리스트의 두 번째 원소는 인덱스가 1
리스트의 세 번째 원소는 인덱스가 2
이런식으로 진행됩니다.

첫 번째 입력된 정수를 리스트의 인덱스로 했을 때,
리스트에서 해당 인덱스의 원소를 'change'라고 바꾸고 리스트의 원소들을 차례로 출력해주세요.

 

<예시>

입력:

5

1 2 5 2 34 2 3 1 2 3

 

출력 : 

1 2 5 2 34  change 3 1 2 3

1
2
3
4
5
6
7
8
9
a=input()
arr=list(input().split())
 
for i in range(len(arr)):
    if i == int(a):
        arr[i]="change"
for i in range(len(arr)):
    print(arr[i], end=" ")
 

 

'Algorithm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21.07.16] Python Day2  (0) 2021.07.18

+ Recent posts